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및 수령나이 알아보자!

2023. 9. 5. 19:14유용한 정보 & tip

 


국민연금은 만 65세 이상의 노인 중 절반 이상이 받고 있는 혜택으로, 이들의 평균 수령액은 59만원 정도입니다. 국민연금은 국가가 생활 보장을 위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으로, 사회 노령, 장애, 사망 등으로 인해 소득 획득 능력이 없어진 경우에 지급됩니다.

국민연금은 18세 이상부터 60세 미만의 국내 거주 국민은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수령 나이에 도달하면 납부한 금액과 기간에 따라 평생 연금을 수령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원천징수를 통해 국민연금을 납부하므로, 짧은 기간이라도 근로를 했던 분들은 예상 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국민연금 예상 수령금액(2023년 기준)

 

2023년 국민연금 예상표를 통해 본인이 납부한 금액에 따른 정확한 국민연금 수령액을 조회하고 싶은 분들은 아래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가입기간 중
기준소득
월액평균액 (B값)
연금보험료
( 9% )
가입기간(단위:원/월)
10년 15년 20년 25년 30년 35년 40년
1 350,000 31,500 163,560 243,840 324,110 350,000 350,000 350,000 350,000
2 400,000 36,000 166,110 247,630 329,160 400,000 400,000 400,000 400,000
3 500,000 45,000 171,200 255,230 339,260 423,280 500,000 500,000 500,000
4 600,000 54,000 176,290 262,820 349,350 435,880 522,400 600,000 600,000
5 700,000 63,000 181,390 270,420 359,440 448,470 537,500 626,520 700,000
6 800,000 72,000 186,480 278,010 369,540 461,060 552,590 644,120 735,650
7 900,000 81,000 191,580 285,600 379,630 473,660 567,680 661,710 755,740
8 1,000,000 90,000 196,670 293,200 389,720 486,250 582,780 679,310 775,830
9 1,100,000 99,000 201,760 300,790 399,820 498,840 597,870 696,900 795,930
10 1,200,000 108,000 206,860 308,380 409,910 511,440 612,970 714,490 816,020
11 1,300,000 117,000 211,950 315,980 420,010 524,030 628,060 732,090 836,110
12 1,400,000 126,000 217,040 323,570 430,100 536,630 643,150 749,680 856,210
13 1,500,000 135,000 222,140 331,170 440,190 549,220 658,250 767,270 876,300
14 1,600,000 144,000 227,230 338,760 450,290 561,810 673,340 784,870 896,400
15 1,700,000 153,000 232,330 346,350 460,380 574,410 688,430 802,460 916,490
16 1,800,000 162,000 237,420 353,950 470,470 587,000 703,530 820,060 936,580
17 1,900,000 171,000 242,510 361,540 480,570 599,590 718,620 837,650 956,680
18 2,000,000 180,000 247,610 369,130 490,660 612,190 733,720 855,240 976,770
19 2,100,000 189,000 252,700 376,730 500,760 624,780 748,810 872,840 996,860
20 2,200,000 198,000 257,790 384,320 510,850 637,380 763,900 890,430 1,016,960
21 2,300,000 207,000 262,890 391,920 520,940 649,970 779,000 908,020 1,037,050
22 2,400,000 216,000 267,980 399,510 531,040 662,560 794,090 925,620 1,057,150
23 2,500,000 225,000 273,080 407,100 541,130 675,160 809,180 943,210 1,077,240
24 2,600,000 234,000 278,170 414,700 551,220 687,750 824,280 960,810 1,097,330
25 2,700,000 243,000 283,260 422,290 561,320 700,340 839,370 978,400 1,117,430
26 2,800,000 252,000 288,360 429,880 571,410 712,940 854,470 995,990 1,137,520
27 2,900,000 261,000 293,450 437,480 581,510 725,530 869,560 1,013,590 1,157,610
28 3,000,000 270,000 298,540 445,070 591,600 738,130 884,650 1,031,180 1,177,710
29 3,100,000 279,000 303,640 452,670 601,690 750,720 899,750 1,048,770 1,197,800
30 3,200,000 288,000 308,730 460,260 611,790 763,310 914,840 1,066,370 1,217,900
31 3,300,000 297,000 313,830 467,850 621,880 775,910 929,930 1,083,960 1,237,990
32 3,400,000 306,000 318,920 475,450 631,970 788,500 945,030 1,101,560 1,258,080
33 3,500,000 315,000 324,010 483,040 642,070 801,090 960,120 1,119,150 1,278,180
34 3,600,000 324,000 329,110 490,630 652,160 813,690 975,220 1,136,740 1,298,270
35 3,700,000 333,000 334,200 498,230 662,260 826,280 990,310 1,154,340 1,318,360
36 3,800,000 342,000 339,290 505,820 672,350 838,880 1,005,400 1,171,930 1,338,460
37 3,900,000 351,000 344,390 513,420 682,440 851,470 1,020,500 1,189,520 1,358,550
38 4,000,000 360,000 349,480 521,010 692,540 864,060 1,035,590 1,207,120 1,378,650
39 4,100,000 369,000 354,580 528,600 702,630 876,660 1,050,680 1,224,710 1,398,740
40 4,200,000 378,000 359,670 536,200 712,720 889,250 1,065,780 1,242,310 1,418,830
41 4,300,000 387,000 364,760 543,790 722,820 901,840 1,080,870 1,259,900 1,438,930
42 4,400,000 396,000 369,860 551,380 732,910 914,440 1,095,970 1,277,490 1,459,020
43 4,500,000 405,000 374,950 558,980 743,010 927,030 1,111,060 1,295,090 1,479,110
44 4,600,000 414,000 380,040 566,570 753,100 939,630 1,126,150 1,312,680 1,499,210
45 4,700,000 423,000 385,140 574,170 763,190 952,220 1,141,250 1,330,270 1,519,300
46 4,800,000 432,000 390,230 581,760 773,290 964,810 1,156,340 1,347,870 1,539,400
47 4,900,000 441,000 395,330 589,350 783,380 977,410 1,171,430 1,365,460 1,559,490
48 5,000,000 450,000 400,420 596,950 793,470 990,000 1,186,530 1,383,060 1,579,580
49 5,050,000 454,500 402,970 600,740 798,520 996,300 1,194,080 1,391,850 1,589,630
50 5,100,000 459,000 405,510 604,540 803,570 1,002,590 1,201,620 1,400,650 1,599,680
51 5,200,000 468,000 410,610 612,130 813,660 1,015,190 1,216,720 1,418,240 1,619,770
52 5,300,000 477,000 415,700 619,730 823,760 1,027,780 1,231,810 1,435,840 1,639,860
53 5,400,000 486,000 420,790 627,320 833,850 1,040,380 1,246,900 1,453,430 1,659,960
54 5,500,000 495,000 425,890 634,920 843,940 1,052,970 1,262,000 1,471,020 1,680,050
55 5,530,000 497,700 427,420 637,190 846,970 1,056,750 1,266,530 1,476,300 1,686,080

 

 

2.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방법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는 국민연금공단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가능합니다. 

 

아래는 조회 방법입니다:

1) NPS 국민연금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2) 사이트 메뉴 중 '자주찾는 민원서비스'를 클릭한 다음 '내 연금 알아보기' 버튼을 선택합니다.
3) '내연금알아보기'를 클릭한 후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조회'를 선택합니다.
4) 주민번호를 입력하고, 공인인증서로 로그인하거나 네이버 또는 카카오톡 금융인증서를 사용하여 로그인합니다.

 

이렇게 로그인한 후에는 예상 노령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재가치 예상연금액과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재가치 예상연금액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하지 않은 현재 시점에서 산정한 금액이며, 미래가치 예상연금액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미래가치 예측금액을 의미합니다.

또한, 향후의 소득 및 가입기간을 수정하여 재계산도 가능하니 필요한 경우 설정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하기

 


예상 수령액을 확인한 후, 가입 기간 동안 납부한 보험료 등을 알고 싶다면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조회 방법입니다:

1)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2) '전자민원' 메뉴를 선택한 후 '개인민원'을 클릭합니다.
3) '개인로그인'을 선택하여 로그인합니다.
4) '개인서비스 조회'를 선택하고 '가입내역조회'를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가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부 내역도 자세히 조회할 수 있습니다. 필요한 정보를 찾을 때 이 방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4. 2023 국민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의 수급 개시 연령은 출생 연도에 따라 다르며, 예를 들어 출생 연도가 52년 이전인 경우 60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으며, 53년부터 56년생인 경우 61세부터 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65세 이후에는 무조건 65세부터 연금을 수령할 수 있습니다. 연금 금액은 개인의 소득활동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출생연도 노령연금 조기노령연금 분할연금
1953~56년생 61세 56세 61세
1957~60년생 62세 57세 62세
1961~64년생 63세 58세 63세
1965~68년생 64세 59세 64세
1969년생 이후 65세 60세 65세

 

 

5. 국민연금종류

 

국민연금에는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 노령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며 60세(수급연령 상향규정 적용 시 60~65세)가 된 경우, 기본 연금액과 부양 가족 연금액을 합산하여 평생 동안 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
  • 조기노령연금:
    가입 기간이 10년 이상이며 55세(수급연령 상향규정 적용 시 55~60세) 이상인 사람이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 본인이 신청하면 60세(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 전이라도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입니다.
  • 분할연금:
    분할연금은 이혼한 자가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액 중 혼인 기간 동안 해당하는 연금액을 나누어 받는 연금입니다. 이 경우, 혼인 기간 중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6. 조기노령연금 및 연기제도란?

 


노령연금은 가입 기간과 더불어 연금 수령 나이 조건도 충족해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러한 조건 충족 상태에서 소득 활동이 끊기거나 유지되는 등 경제 상황에 따라 최대 5년까지 수령 나이를 앞당기거나 미룰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은 정상 지급 비율을 100으로 보았을 때, 수령 나이의 변동에 따라 연금 금액이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는 선택이 필요합니다.

 

 

<수령 시기에 따른 연금 지급액>

구분 1년 2년 3년 4년 5년
조기수령 -6% -12% -18% -24% -30%
연기수령 +7.2% +14.4% +21.6% +28.8% +36%

 

 

7. 국민연금 환급금

 


국민연금 보험료가 이중 또는 착오로 인해 지불한 금액보다 많은 경우, 가입자에게 환급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환급을 받기 위해서는 신청을 해야 하며, 환급금이 발생한 후 5년 이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권리가 소멸됩니다. 환급금 조회는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 'The건강보험'에서 가능하며, 환급금이 있다면 해당 계좌로 입금받을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환급금 역시 한 번에 조회할 수 있으니, 놓치고 있을지도 모르는 돈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