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6. 27. 15:46ㆍ초보창업자가 준비해야 할 것

카페를 창업하는 상황은 모두 다릅니다.
그러니 당연히 수익의 정도는 다를 수 밖에 없습니다.
아래 내용은 특히 창업하시기 전에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면서 수익을 "예상"해보는 방법입니다.
수익을 예상하기 위해 기본적인 3가지 요소입니다.
1. (비용)투자비
2. (비용)운영비
3. (수익)평균매출
이중 투자비는 이렇게 구성되죠.
1. 공간을 위한 “임대료” : 임대보증금 + 공인중개수수료 + 월세 + 권리금
2. 인테리어
3. 기타
여기서 자가건물에 하시는 분은 당연히 임대료와 임대 보증금은 제외됩니다.
(부럽...)
인테리어 비용은 카페를 단장하는 모든 비용이라 생각하시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지 않습니다.
간판과 가구, 커피머신 및 장비, 전기, 통신, 냉난방비 등
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다른 항목이 많습니다.
장비와 초기 부재료 구매, 가구 등
인테리어와 임대료를 제외한 나머지 비용입니다.
다음으로 아래 표에 따라 예상 비용을 꼭 정리해보시길 바랍니다.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면 정리하기 쉬우니
수익이 실제 어느정도 나는지 확인할 수 있죠.
구 분
|
손 익
|
비 고
|
|||||
금 액
|
구성비
|
|
|||||
(A) 매 출 액
|
-
|
100%
|
|
||||
(B) 매 출 원 가
|
-
|
#DIV/0!
|
(C) + (D) + (E) + (F)
|
||||
(C) 재 료 비
|
-
|
#DIV/0!
|
|
||||
원두
|
|
#DIV/0!
|
|
||||
우유
|
|
#DIV/0!
|
|
||||
부재료(박스)
|
|
#DIV/0!
|
|
||||
메뉴재료
|
|
#DIV/0!
|
|
||||
진열상품
|
|
#DIV/0!
|
|
||||
생과일
|
|
#DIV/0!
|
|
|
|
||
그외
|
|
#DIV/0!
|
|
||||
(D) 노 무 비
|
|
#DIV/0!
|
4대보험포함
|
||||
(E) 임 대 료
|
|
#DIV/0!
|
|
||||
(F) 기 타 경 비
|
|
#DIV/0!
|
|
||||
기타
|
|
|
|
||||
세금 & 금융비
|
* 실제 제가 사용하는 지출정리 항목 중 일부입니다 ㅎㅎ
월 매출에서 위 비용을 빼면 “매출이익”이 나옵니다.
위 항목에서 왠만한 지출이 다 나오지만
기계 as와 같은 일시적인 비용까지 전부 제외하고 나면
정말로 순수익인 “영업이익”이 나옵니다.
“영업이익”이야말로 “순수 마진”입니다.
영업이익을 예상하실 수 있는게 사업계획의 첫단추이자 전부입니다.
항목으로 나열하면 별로 몇개 안되어 보일 수 있지만
아직 영업을 시작하지 않은 예비창업자시라면
생각보다 위 항목들을 채우는게 쉽지 않을 것 입니다.
매출 10,000,000원이 발생하기 위해 필요한
재료비와 인력, 공간 등에 대한 기준이 부족하기 때문이겠지요?
1개의 메뉴만 있고 1잔에 4,000원에 판매하는 카페가 있다고 가정해볼까요?
하루 100명이 와서 400,000원의 매출이 발생합니다.
그러면 30일 영업(1달)하면 12,000,000원입니다.
하루 영업시간이 10시간이면 시간당 10명이 오는 셈입니다.
그러면 직원은 1명으로 충분하지만 쉬는 시간도 있어야하니
한달에 1.5명정도 인력이 필요합니다.
대략 정리하면 이렇게 됩니다.
- 매출 12,000,000
- 인건비 약 300만원 ( 1명 200 / 알바 1명 100 )
- 재료비 210 만원 ( 100 * 30 = 2100잔 * 700원 )
여기까지 수익이 690만원입니다.
임대료와 프차라면 로열티, 세금, 공과금을 빼면 얼마나 남을까요?
여기서부터는 각자 계산하셔야합니다.
당연히 재료비와 인건비도 충분히 달라질 수 있구요
창업하시기 전에 가장 중요한 것은
합리적이고, 실제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익을 예상"하는 겁니다.
물론 장사라는게 뚜껑을 열어봐야아는 거지만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매출을 일으키기 위한 필요한 내용은 바뀌지않습니다.
예를 들어, 매일 100명이 와야 한달 매출이 필요한 만큼 나온다면,
매일 100명이 오는 상권인지 생각해봐야죠.
매일 100명이 몇시부터 몇시까지 올지
그 시간동안 필요한 인력은 어느정도일지
1명당 얼마를 사용할지(매출)
이러한 사항은 창업전에 고민을 충분히 하시고 돌아다녀보고 하신다면 그려볼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창업보단 안정적인 창업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1억 투자했으니 1년 동안 1억 수익은 벌어야지.
커피 한잔 원가는 몇백원이니까 엄청 남는 고수익 사업이네
이렇게 접근하시면 큰코다칩니다.
개인숍을 하신다면, 철저한 상권분석과 사업계획을 하기 어렵다면
최소한의 컨설팅은 필수입니다.
바리스타 자격증은 사업을 하기 위한 실무를 배우는게 아닙니다.
사업자등록증을 위한 필수요소도 아닙니다.
코로나를 비롯해서 정말 많은 자영업자분들이 생기고 없어지는 것을 보면서
너무 안타깝고 아픈 마음으로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라는 마음에
글을 두서없이 씁니다 ㅎㅎ
예비창업자분들에게 딱 한마디로 정리한다면
생각하는 카페 운영을
“서류화”하여 타인을 설득할 수 있다면, 괜찮은 시작입니다.
'초보창업자가 준비해야 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카페창업 시 상권분석을 꼭 본인이 해야되는 이유 (0) | 2023.06.27 |
---|---|
카페창업 제과 TIP 알려드려요 (0) | 2023.06.27 |
제가 쓰는 아이스 밀크티 레시피 ver. 2(시럽 활용) (0) | 2023.06.26 |
카페창업 유형별 알바 정리 해봤습니다 (0) | 2023.06.26 |
초보점주가 카페창업 상권분석했던 노하우 입니다. (0) | 2023.06.26 |